[건강정보] 방어기제의 종류와 예

방어기제란 이드의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욕구, 충동과 이에 대한 초자아의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무의식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전으로, 어려운 문제에 부딪혀 현실을 왜곡하기도 하고 거부, 위조하기도 하나 자신은 인식하지 못한다.

 



1. 억압(repression) : 용납될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등을 무의식의 영역에 묻어버리는 방어기전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1차적인 기전이다.

  • 죄의식을 일으키는 기억을 의식에서서 제거하는 무의식적 기전입니다.

  • 가슴 아픈 일이나, 귀찮은 일들을 듣지 못했다고 하거나 잊어버리는 일을 예로 들 수 있다.

 

2. 억제(suppression) :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이나 충동을 의식적으로 누르고 의도적으로 통제, 조절하는 것으로 모든 방어기전은 무의식적이나 유일하게 의식적인 방어기전이다.

  • 한 기억들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노력하고 일부러 큰소리로 잊으려고 노래 부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3. 반동형성(reaction formation) : 밑바닥에 흐르는 생각, 소원 충동이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일 때 이와 반대되는 것을 강조함으로서 의식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다.

  • 미운 아이 떡 하나 더 주기, 지저분한 사람이 깨끗한 척 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.

4. 동일화(identification) : 개인이 어떤 집단과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거기서 만족감을 얻으려고 하는 것으로 자아와 초자아의 형성에 중요하며 성격발달에 큰 영향을 끼친다.

프로이트의 성격발달에서 남근기시기에 외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와 같은 성의 부모를 무의식적으로 닮으려고 하는 것도 동일화이다.

  • 공격적인 충동을 억압하고 있는 사람이, 공격적인 히틀러와 같은 사람과 동일화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5. 함입(introjection) : 남에게 향했던 모든 감정을 자신에게로 향하게 하는 기전으로 자학, 우울, 자살을 유발하기도 한다.

  • 자기와 자기 아닌 것 정도는 구분하는 시기에 일어나는 원시적 동일화이다.

6. 합일화(incorporation) : 자기와 자기 아닌것이 구분이 안 되는 상태로 대상을 통째로 삼키듯이 동화하는 것, 동일화에 포함되나 보다 원시적이고 미숙한 상태이다.

  • 원하는 대상이나 인물을 상징적으로 삼켜서 자기 몸과 일체가 되게 하는 과정이다.

7. 보상(compensation) :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으로 인해 생긴 열등감을 감소시키기 위해, 바람직한 특성을 강조하는 것이다.

  • 키 작은 사람 증후군 혹은 나폴레옹 콤플렉스를 예로 들 수 있다. ( 키가 작은 것에 대한 열등감을 공격적이고 강력한 통제를 하는 것으로 보상받으려 한다.)

8. 합리화(rationalization) :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나 행동에 대해 이유를 붙여 개인의 행동을 정당화 하는 것으로 무의식적인 기전이다.

  • 이솝우화의 신포도 이야기를 예로 들 수 있다.

9. 대리형성(substition) : 대리성 만족이라고도 하며 목적하던 것을 갖지 못할 때 무의식적으로 비슷한 것을 취해 만족을 얻는 것이다.

  • 꿩 대신 닭을 예로 들 수 있다.

10. 전치(displacement) : 무의식적인 충동, 감정, 관념이 실제 대상과는 다른 대치물로 향하게 되는 것으로 전치는 감정이 옮아가는 것이고 대리형성은 대상에 중점을 두어 말을 하는 것이 차이다.

  • 동쪽에서 뺨 맞고 서쩍에서 화풀이하기를 예로 들 수 있다.

  • 자위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손을 자주 씻는 행동으로 옮아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  • 어머니가 면회하고 간 후 이유없이 간호사에게 화를 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11. 취소(undoing) : 자신의 성적, 적대적 욕구로 인해 상대가 입었다고 상상하는 피해를 인정하지 않는 행위로 무의식적으로 없었던 것처럼 취소하는 행동이다.

반동형성은 의식이나 태도가 반대로 나타나지만 취소는 행동이 반대로 나타나며 강박신경증에서 볼 수 있다.

  • 부정행위를 해서 돈을 번 사장이 사회사업에 돈을 내어 놓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  • 남편이 부인을 때리고 꽃을 사다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12. 상환(restitution) : 배상행위를 통해 죄책감으로 인한 마음의 부담을 줄이려는 기전이다.

  • 30년에 걸쳐 돌을 깎아 부처님 조각을 완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  • 아내가 죽은 뒤 수염도 안 깎고 외출도 안하는 행동을 예로 들 수 있다.

13. 투사(projection): 어떤 생각이나 행동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과정으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전이며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. 편집증환자에게 많다.

  • 부도덕한 성적 충동이 있는 남편이 부인을 의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.

14. 상징화(symbolization) : 어떤 대상, 사상을 대변하는 다른대상, 상념을 내세우는 것이다.

  • , 공상, 농담, 문학, 예술작품에서 볼 수 있고, 공포증이나 강박증에서 나타난다.


15. 퇴행(regression) : 현재와 같은 갈등이 없었던 시기인 이전의 초기 발달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정신분열증에서 많이 사용된다.

  • 오줌을 잘 가리던 형이 동생을 본 후 밤에 오줌을싸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.

16. 고착(fixation) : 어린 시절에 지나치게 심한 좌절을 받았거나 너무 만족한 경우 이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.

  • 어린애처럼 말하거나 손가락을 입에 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17. 해리(dissociation) :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인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경우이다.

  • 다중성격, 지킬박사와하이디, 몽유병, 잠꼬대, 건망증, 둔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

18. 부정(denial) : 의식화 되면 도저히 감당 못 할 어떤 생각, 욕구, 현실적 존재를 무의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.

  • 다린 절단환자의 환상의 다리증상, 암환자가 장래계획을 세우며 즐거워 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.

  • 객혈을 한 환자가 엑스레이를 안 찍으려고 하고 결과도 보지 않으려고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19. 격리(isolation) : 고통스러운 생각, 감정, 기억을 의식에서 몰아내는 것으로 고통스러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은 억압하는 것으로 강박장애에서 흔하다.

  • 자신이 불안했던 상황을 아무런 표정 없이 이야기 하는 것 등이 있다.

  • 죽음이 임박한 환자를 감정의 변화 없이 간호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  • 해부학 실습을 하면서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냉정하게 실습에 임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20. 승화(sublimation) : 본능의 힘, 성적 공격적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돌려쓰는 기전으로 가장 능률적이고 창조적인 기전이다.

  • 게임, 스포츠, 취미, 예술작품, , 음악, 조각, 춤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.

21. 전환(corversion) :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기관가 수의근계의 증상으로 무의식적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꾀병과 다르며 신체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으나 고통을 느낀다.

  • 시집 살이가 심한 새댁이 시어머니를 보고 목이 돌아가고 팔이 마비가 오는 것 등이 해당한다.

22. 저항(resistance) : 자아가 관여하기에는 너무 괴롭고 불안한 일이 더 이상 드러나지 않도록 무의식적으로 피하는 것이다.

  • 기억이 없다고 하거나 트집을 잡고 화를 내고 모른다고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.

23. 신체화(somatization) :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, 수의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부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이다.

  •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.

24. 주지화(intellectualization) : 지능이 높거나 교육정도가 높은 사람이 느낌보다는 사고로 정서적 불편을 제거하는 것으로 사고는 의식상에 남아 있지만 감정은 살짝 빼어버려 용납 못할 충동에서 오는 불안을 막는 것이다.

  • 자신을 괴롭히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서 불편한 감정이 나를 압도하는 것을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.

25. 꿈(dreams) : 깨어 있을 때나 이룰 수 없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소원을 자는 동안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과정으로 사태를 예견, 예방, 연습해 보고 극복해 보려는 노력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.

 

26.행동화(acting out) : 신체적 행동이나 비행, 충동적 행동을 통해 무의식적 소망, 충동을 의식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.

 

27.이상화(idealization) : 어떤 한 좋은 부분만을 과대평가 하는 것으로 독단적인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.

  • 사랑에 빠진 사람이 상대방을 과대평가 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.

28. 양가감정(ambivalence) : 한 대상에 대해 반대 감정이 공존하는 것으로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미워하는 감정을 같이 갖고 있는 경우이다.

 

29. 금욕주의(asceticism) :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쾌감과 즐거움을 반대하고 금욕에서 진정한 만족과 즐거움을 얻는 기제로 성직자, 승려, 수사에게서 이런 기전을 사용함을 본다.

 

30.애타주의(altruism) : 반동형성의 하나로 자기 본능의 만족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 내재화에 의한 대리만족을 하는 것이다.

 

31. 환상, 공상(fantasy) : 실제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욕구나 소원을 마음속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상된 사건이나 정신 이미지 속에서 비현실적인 것을 상상하는 방어기전이다. 지나치게 사용하면 현실과의 접촉을 감소시킨다. 백일몽은 공상의 예이다.

 

32. 자신에게로 향함(turning against the self) : 본능적 충동이 남 아닌 자기에게로 향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말하는 본능적 충동이란 공격성을 의미한다.

  • 엄마에게 야단 맞은 어린이가 화간서 자기 머리를 벽에 박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33. 증상의 형성(symptom formation) : 자아가 금지된 충동과 그것에 대항하는 자아의 반응 둘 다를 만족시키려 하는 병적인 기제이다.

  • 임신에서 나타나는 병적 구토현상은 태아를 없앴으면 하는 금지된 충동의 표현이 신체증상으로 나타난 것이다.

34. 반복강박(repetition compulsion) : 정서질환에서 흔히 보는 양상으로 하나의 증상이고 병적 행동양상이며 사고장애이다. 잘못된, 문제가 많은 상황에 휩쓸리며 똑같은 형태의 신경증적 관계를 반복하여 맺는 것으로 무의식에서 그 사람의 행동에 대한 결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 경험은 아무 것도 가르쳐주지 못하므로 병적이라고 볼 수 있는 과정을 되풀이 하는 것이다.

 

35. 자기애(narcissism) : 1차적인 자기애는 자신과 외부세계를 구별할 수 없는 영아의 상태를 말하며 2차적인 자기애는 타인에게의 리비도를 철회하여 그것을 자기내부로 재투자하는 경우로 정신적 신체적 상처가 있는 경우이다.

 

36. 자아의 제한(limit of ego) : 갈등을 일으킬만한 두려운 상황으로부터 무의식적으로 후퇴하는 것이다.

 

37. 분단(splitting) : 자신이나 다른 개인의 이미지에 대하여 선과 악을 통합하지 못하는 방어기제이다. 경계선 인경 장애에서 볼 수 있다.

  • 모든 의사는 무조건 나쁜 사람이고 모든 간호사는 무조건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

38. 저항(resistance) :무의식에 억압된 내용을의식화할 때 이것이 의식화 되면 너무 고통스러우므로 침묵을 지키거나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하는 것이다.

 

39. 두절(blocking) : 일시적으로 사고가 중단되는 것이다.

  • 이야기 도중에 그 다음이 무엇인지 기억하지 못한다.

40. 유머(humor) :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자기 느낌이나 생각을 공개적으로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방어기제이다.

 

41. 건강염려증(hypochondrisis): 회피와 퇴행을 위해 질병을 과정하거나 강조하는 방어기제이다.

 

42. 압축(condensation) : 둘 이상의 관념이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된 것을 말한다.

  • 꿈속에서 나타난 한 사람이 얼굴은 사람 같고 몸매는 호랑이 같다는 식을 말을 하는 경우이다.

43. 통제(controlling) : 불안과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건이나 대상을 관리하고 조절하려고 시도하는 방어기제이다.

 

44. 예기(anticipation) : 미래에 나타날 정신적 고통을 미리 현실적으로 예견하고 그것에 대해 준비하는 것이다.

 

45. 수동공격성 행동(passive-aggressive behabior) : 타인에 대한 공격성을 수동적이며 자학적으로 자신에게 향하게 표현 하는 것이다.

  • 수행실패, 미적거리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.